법원 판례 및 노동위 판정

로케이션
» Home > 노동상담 > 법원 판례 및 노동위 판정

노동법 판례 상세보기

노동법 판례 상세보기
1년 계약직 연차 26일→11일로…다음날도 일해야 15일 휴가 부여
작성자 관리자 조회수 1,707
등록일 2022.01.18 추천수

0

제목 : 연차사용권ㆍ수당청구권 발생시점과 1년 계약직의 연차수당

- 대법원 2021. 10. 14. 선고 2021다227100 판결-

판결 요지 :

(1) 연차휴가를 사용할 권리는 다른 특별한 정함이 없는 한 그 전년도

1년간의 근로를 마친 다음 날 발생한다고 보아야 하므로, 그 전에 퇴직

등으로 근로관계가 종료한 경우에는 연차휴가를 사용할 권리에 대한

보상으로서의 연차휴가수당도 청구할 수 없다.

(2) 1년 기간제 근로계약을 체결한 근로자에게는 최대 11일의 연차휴가

가 부여된다고 보아야 한다.


[관련 뉴스] 

고용부, 대법원 판결 반영해 행정지침 변경...16일부터 적용

 

1년(365일)을 일한 노동자의 연차휴가를 기존 26일에서 11일로 변경하

는 내용의 고용노동부의 행정지침이 16일부터 적용된다. 올해 10월에

나온 대법원 판결을 반영해 지침을 손질한 것이다.

이에 따라 1년의 근로를 마친 다음 날(366일째)에도 일해야 15일의 연

차가 발생하고, 퇴직에 따른 연차 미사용 수당도 청구할 수 있다.

고용노동부는 이날 1년간 근로자에게 주어지는 연차휴가에 대한 행정

지침을 변경해 시행한다고 밝혔다.

그동안 1년을 근무한 경우 매달 발생한 유급휴가 11일과 1년간 80% 개

근 시 부여되는 연차휴가 15일을 더해 최대 26일의 유급휴가가 부여됐다.

이에 따라 1년의 근로를 마치고 바로 퇴직하면 15일분의 미사용 연차를

수당으로 청구할 수 있었다.

그러나 앞으로는 1년의 근로를 마친 다음날(366일째) 근로관계가 있어

야 15일의 연차가 발생하고, 퇴직에 따른 연차 미사용 수당 청구가 가능

하다. 예를 들어 1년의 근로기간을 마친 계약직 근로자가 다음날도 계속

근무하다면 종전에 1년간 80% 개근 시 부여되는 연차휴가 15일을 받

게 되고, 퇴직 시 이에 대한 연차수당(미사용 분)을 받을 수 있다. 정규

직 근로자 역시 동일하게 적용된다.

이번 행정지침 변경은 올해 10월 대법원 판결에 따른 것이다. 당시 대법

원은 "1년 기간제 근로계약을 체결한 근로자에게는 그 1년의 근로를 마

친 다음 날 근로관계가 있어야 연차휴가(15일)가 부여돼야 한다"며 "1

년 계약 근로자가 퇴직 등으로 근로관계가 종료되면 연차휴가 수당을

청구 할 수 없다”고 판결했다. 이 판결로 미사용 연차휴가 수당을 이미

지급한 사업장 등 일선 현장에서는 혼란을 빚기도 했다.

이번 행정지침 변경으로 1년 계약직 근로자들에게 더 줬던 연차휴가 수

당에 대한 반환 소송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이에 대해 고용부 관계자는 "딱 1년 일한 경우에는 반환 소송이 있을 것

으로 보는데 현재 사업장 등의 관련 문의가 적어 소송이 많이 일어날 가

능성은 크지 않다고 보고 있다"며 "반환 소송은 개별 사업장에서 판단

해서 진행해야 할 문제이기에 소송 시 법원 판단에 맡길 수밖에 없다"

고 말했다.

고용부는 이번 지침변경과 함께 연차휴가가 금전보상의 수단으로 활용

되지 않고, 본래의 취지대로 근로자의 휴식권이 보장될 수 있도록 연차

사용 촉진제도를 적극 안내‧홍보해 나갈 계획이다.


연차휴가 사용 촉진제도는 사용자가 근로자에게 미사용 연차 일수를 알


려주면서 사용을 독려하고, 그래도 사용하지 않으면 다시 사용 시기를

정해 근로자에게 통보하는 제도다. 그럼에도 연차를 사용하지 않으면

사업주에 대한 연차보상의무가 면제된다.

https://www.etoday.co.kr/news/view/2087625



  • 페이스북으로 글 보내기
  • 트위터로 글 보내기

노동법 판례 코멘트 쓰기

코멘트 쓰기
답글달기 상태입니다. 답글달기를 취소하고자 할 경우 위의 취소버튼을 눌러주세요.
  • 글쓰기
  • 목록
  • 인쇄
  • 수정
  • 삭제

노동법 판례 목록

노동법 판례 목록
번호 제목 작성자 조회 등록일
공지 2025년 새롭게 바뀌는 노동관계법령 살펴보기 관리자 301 2025.02.06
공지 대법원 판례 변경 통상임금 인상 살제 사례 24년12월19일 이후부터 적용 파일 관리자 334 2025.02.06
공지 2024년 달라지는 노동법 영상으로 알아보기!! 핫 관리자 966 2024.03.05
공지 노조법 개정 핵심 내용 설명해 드립니다. 핫 관리자 3,382 2023.03.08
공지 2023년 바뀌는 노동법은? 핫 관리자 1,855 2023.01.11
공지 2023년, 대체공휴일·만나이·우회전 일시정지…새해 달라지는 10가지 핫 관리자 1,152 2023.01.11
312 산업안전보건법위반 사건 핫 파일 관리자 626 2023.12.08
311 2024 최저임금 9,860원 / 2024.1.1.부터 정기상여금&복리후생비 최저임금에 모두 산입! 관리자 427 2023.11.16
310 [대법]초·중등교육법령에 따라 임용된 영어회화 전문강사가 기간의 정함이 없는 근로계약을 체결한 근로자가 되었다고 주.. 핫 파일 관리자 572 2023.09.12
309 [대법원]묵시적 의사표시에 의한 해고를 인정하기 위한 기준이 문제된 사건[대법원 2023. 2. 2. 선고 중요판결] 파일 관리자 385 2023.09.05
308 [중노위/부당노동행위]전보가 경제적인 불이익 외에 조합원 자격을 상실하게 함으로써 조합활동을 할 수 없게 하려는 사용.. 파일 관리자 343 2023.08.14
307 [지노위]단체협약의 적용을 받지 않는다는 이유로 기간제근로자들에게 명절상여금, 직무수당, 정근수당, 복지포인트를 지급.. 핫 관리자 560 2023.08.07
306 [대법원]'정년에 도달한 근로자가 기간제 근로자로 재고용되지 못한 것’과 ‘정년 도달 후 기간제 근로계약을 체결한 근.. 파일 관리자 338 2023.07.31
305 [중노위]헤어디자이너들은 근로기준법상 근로자가 아닐 뿐 아니라 사업장이 근로기준법 적용 대상(상시근로자수 5명 이상).. 핫 파일 관리자 578 2023.07.27
304 [중노위]기간제 계약을 하였으나 사실상 기간의 정함이 근로계약 체결에 해당..부당해고[2022.8.29.판정] 파일 관리자 479 2023.03.30
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
비밀번호
확인
취소
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
비밀번호
확인
취소
게시판을 선택하세요.
게시판선택
확인
취소
신고사유를 선택하세요.
확인
취소
T o 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