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원 판례 및 노동위 판정

로케이션
» Home > 노동상담 > 법원 판례 및 노동위 판정

노동법 판례 상세보기

노동법 판례 상세보기
[지방ㆍ행정법원] 법원 “회사 대표도 고용됐다면 근로자...업무상 재해 인정해야”
작성자 관리자 조회수 635
등록일 2021.09.24 추천수

0


업무의 일환으로 패러글라이딩 비행 중 추락해 사망한 회사 대표도 근로자로 보고 업무상 재해를 인정해야 한다는 법원 판결이 나왔다. 사업주에게 고용돼 지휘ㆍ감독을 받았다면 근로기준법상 근로자로 볼 수 있다는 판단이다.

23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행정법원 제3부(재판장 유환우)는 회사 대표 A 씨 유족이 근로복지공단을 상대로 낸 유족급여ㆍ장의비 부지급 처분 취소 소송에서 원고승소 판결했다.

재판부는 지난달 27일 "A 씨는 회사의 형식적ㆍ명목적 대표자로서 실제로는 사업주인 B 씨에게 고용돼 그 지휘ㆍ감독 아래 일정한 노무를 담당하고 일정한 보수를 지급받아 온 근로기준법상 근로자"라며 이 같이 판시했다.

A 씨는 2인승 체험비행 자격증 취득을 위해 비행 도중 추락사고로 숨졌다. A 씨와 회사가 체결한 '전문경영인 근로계약서'에는 2인승 체험비행 자격 취득을 위한 비행 연습이 업무 내용으로 명시돼 있다.

유족 측은 공단에 유족급여와 장의비 지급을 청구했다. 하지만 공단은 A 씨가 회사 대표인 만큼 근로자로 볼 수 없고 업무와 무관한 비행자격증을 취득하다 사망한 만큼 업무상 재해가 아니라고 선을 그었다.

법원은 공단 처분이 위법하다고 봤다. 재판부는 "A 씨는 근로계약서에 기재된 업무 내용을 실제로 모두 수행했고 B 씨가 한 A 씨의 채용 경위, 구체적 근무 일정ㆍ근무내용, 급여 지급방식 등에 관한 진술이 근로계약서와 대체로 부합한다"며 "A 씨와 B 씨가 근로계약서를 실제로 작성하지 않았더라도 근로계약서에 기재된 내용과 같은 합의가 있었다고 봐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체험비행이 가능한 계절에는 A 씨의 근무시간과 근무장소가 일정하게 고정돼 A 씨가 이에 구속을 받았던 것으로 보인다"며 "회사 주식 전부를 실질적으로 B 씨가 보유하고 있고 회사 법인계좌에서 B 씨 휴대폰ㆍIPTV 요금이 지출되는 등 회사는 전적으로 사업주인 B 씨 계산으로 운영된 것으로 보인다"고 지적했다.

A 씨가 근로의 대가로 지급받는 보수 외에 회사 이익이나 손해 등에 관한 부담이 주어지지 않은 점도 근로자성 판단 근거로 제시됐다.

재판부는 "회사 직원들이 A 씨를 '대장님' 또는 '사장님'이라고 부른 사실은 있지만 이는 A 씨가 B 씨의 손윗동서로서 별도로 다른 회사를 운영하고 있기 때문"이라며 "그러한 사정만으로 A 씨가 회사의 실질적인 대표자나 사장으로 활동했다고 추단하기 어렵고 나아가 A 씨는 고용보험을 제외한 국민연금, 건강보험, 산재보험에도 가입돼 있었다"고 했다.

또 근로계약서에 2인승 체험비행 자격 취득을 위한 비행 연습이 업무 내용으로 명시돼 있었던 만큼 업무상 재해로 볼 수 있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A 씨는 근로기준법상 근로자에 해당하고 근로계약에서 정한 업무를 수행하던 중 발생한 사고로 사망했기 때문에 업무상 재해에 해당한다"며 "이와 다른 전제에서 내려진 공단 처분은 위법해 취소돼야 한다"고 판단했다.



출처 - 월간노동법률



  • 페이스북으로 글 보내기
  • 트위터로 글 보내기

노동법 판례 코멘트 쓰기

코멘트 쓰기
답글달기 상태입니다. 답글달기를 취소하고자 할 경우 위의 취소버튼을 눌러주세요.
  • 글쓰기
  • 목록
  • 인쇄
  • 수정
  • 삭제

노동법 판례 목록

노동법 판례 목록
번호 제목 작성자 조회 등록일
공지 2025년 새롭게 바뀌는 노동관계법령 살펴보기 관리자 316 2025.02.06
공지 대법원 판례 변경 통상임금 인상 살제 사례 24년12월19일 이후부터 적용 파일 관리자 348 2025.02.06
공지 2024년 달라지는 노동법 영상으로 알아보기!! 핫 관리자 981 2024.03.05
공지 노조법 개정 핵심 내용 설명해 드립니다. 핫 관리자 3,403 2023.03.08
공지 2023년 바뀌는 노동법은? 핫 관리자 1,863 2023.01.11
공지 2023년, 대체공휴일·만나이·우회전 일시정지…새해 달라지는 10가지 핫 관리자 1,154 2023.01.11
312 산업안전보건법위반 사건 핫 파일 관리자 627 2023.12.08
311 2024 최저임금 9,860원 / 2024.1.1.부터 정기상여금&복리후생비 최저임금에 모두 산입! 관리자 431 2023.11.16
310 [대법]초·중등교육법령에 따라 임용된 영어회화 전문강사가 기간의 정함이 없는 근로계약을 체결한 근로자가 되었다고 주.. 핫 파일 관리자 573 2023.09.12
309 [대법원]묵시적 의사표시에 의한 해고를 인정하기 위한 기준이 문제된 사건[대법원 2023. 2. 2. 선고 중요판결] 파일 관리자 386 2023.09.05
308 [중노위/부당노동행위]전보가 경제적인 불이익 외에 조합원 자격을 상실하게 함으로써 조합활동을 할 수 없게 하려는 사용.. 파일 관리자 345 2023.08.14
307 [지노위]단체협약의 적용을 받지 않는다는 이유로 기간제근로자들에게 명절상여금, 직무수당, 정근수당, 복지포인트를 지급.. 핫 관리자 560 2023.08.07
306 [대법원]'정년에 도달한 근로자가 기간제 근로자로 재고용되지 못한 것’과 ‘정년 도달 후 기간제 근로계약을 체결한 근.. 파일 관리자 339 2023.07.31
305 [중노위]헤어디자이너들은 근로기준법상 근로자가 아닐 뿐 아니라 사업장이 근로기준법 적용 대상(상시근로자수 5명 이상).. 핫 파일 관리자 581 2023.07.27
304 [중노위]기간제 계약을 하였으나 사실상 기간의 정함이 근로계약 체결에 해당..부당해고[2022.8.29.판정] 파일 관리자 480 2023.03.30
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
비밀번호
확인
취소
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
비밀번호
확인
취소
게시판을 선택하세요.
게시판선택
확인
취소
신고사유를 선택하세요.
확인
취소
T o 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