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원 판례 및 노동위 판정

로케이션
» Home > 노동상담 > 법원 판례 및 노동위 판정

노동법 판례 상세보기

노동법 판례 상세보기
수습기간중 부당해고 대처방안은?
작성자 관리자 조회수 2,464
등록일 2019.03.19 추천수

0


♥수습중인 노동자라 하여도 사회통념상 노동종속 관계를 유지하기 어려운 정도의 사유가 있어야 하고 또한 절차적 정당성이 결여된 경우 그 해고는 부당해고가 됩니다.
부당해고 시 해고통보가 송달된 날로부터 3개월 이내에 해당 지방노동위원회에 그 사유를 적시하여 부당해고 구제신청을 하시기 바랍니다.

기존 해고예고의 예외규정

1) 천재,사변, 그 밖의 부득이한 사유로 사업을 계속하는 것이 불가능한 경우, 또는 노동자가 고의로 사업에 막대한 지장을 초래하거나 재산상 손해를 끼친 경우로서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고 예고를 하지 않을 수 있음.

해고예고의 예외가 되는 노동자의 귀책사유(근기법 시행규칙 별표)

1,납품업체로부터 금품이나 향응을 제공받고 불량품을 납품받아 생산에 차질을 가져온 경우.

2,영업용 차량을 임의로 타인에게 대리운전하게 하여 교통사고를 일으킨 경우.

3,사업의 기밀이나 그  밖의 정보를 경쟁관계에 있는 다른 사업자 등에게 제공하여 사업에 지장을 가져온 경우.

4,허위 시실을 날조하여 유포하거나 불법 집단행동을 주도하여 사업에 막대한 지장을 가져온 경우.

5,영업용 차량 운송 수익금을 부당하게 착복하는 등 직책을 이용하여 공금을 착복, 장기유용, 횡령 또는 배임한 경우.

6,제품 또는 원료 등을 몰래 훔치거나 불법 반출한 경우.

7,인사, 경리, 회계담당 직원이 노동자의 근무상황 실적을 조작하거나 허위 서류 등을 작성하여 사업에 손해를 끼친 경우.

8,사업장의 기물을 고의로 파손하여 생산에 막대한 지장을 가져온 경우.

9,그 밖에 사회통념상 고의로 사업에 막대한 지장을 가져 오거나 재산상 손해를 끼쳐다고 인정 되는 경우.

2)근기법 제35조에서 규정하고 있는 예외대상

1, 일용근로자로서 3개월을 계속근무하지 아니한 자.
2, 2개월 이내의 기간을 정하여 사용된 자.
3, 월급 노동자로서 6개월이 되지 못한 자.
4, 계절적 업무에 6개월 이내의 기간을 정하여 사용된 자.
5, 수습 사용중인 노동자 (수습 사용한 날로부터3개월 이내인 자)

[해고 예고의 위반시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
  • 페이스북으로 글 보내기
  • 트위터로 글 보내기

노동법 판례 코멘트 쓰기

코멘트 쓰기
답글달기 상태입니다. 답글달기를 취소하고자 할 경우 위의 취소버튼을 눌러주세요.
  • 글쓰기
  • 목록
  • 인쇄
  • 수정
  • 삭제

노동법 판례 목록

노동법 판례 목록
번호 제목 작성자 조회 등록일
공지 2025년 새롭게 바뀌는 노동관계법령 살펴보기 관리자 311 2025.02.06
공지 대법원 판례 변경 통상임금 인상 살제 사례 24년12월19일 이후부터 적용 파일 관리자 342 2025.02.06
공지 2024년 달라지는 노동법 영상으로 알아보기!! 핫 관리자 973 2024.03.05
공지 노조법 개정 핵심 내용 설명해 드립니다. 핫 관리자 3,393 2023.03.08
공지 2023년 바뀌는 노동법은? 핫 관리자 1,859 2023.01.11
공지 2023년, 대체공휴일·만나이·우회전 일시정지…새해 달라지는 10가지 핫 관리자 1,154 2023.01.11
312 산업안전보건법위반 사건 핫 파일 관리자 627 2023.12.08
311 2024 최저임금 9,860원 / 2024.1.1.부터 정기상여금&복리후생비 최저임금에 모두 산입! 관리자 429 2023.11.16
310 [대법]초·중등교육법령에 따라 임용된 영어회화 전문강사가 기간의 정함이 없는 근로계약을 체결한 근로자가 되었다고 주.. 핫 파일 관리자 573 2023.09.12
309 [대법원]묵시적 의사표시에 의한 해고를 인정하기 위한 기준이 문제된 사건[대법원 2023. 2. 2. 선고 중요판결] 파일 관리자 385 2023.09.05
308 [중노위/부당노동행위]전보가 경제적인 불이익 외에 조합원 자격을 상실하게 함으로써 조합활동을 할 수 없게 하려는 사용.. 파일 관리자 344 2023.08.14
307 [지노위]단체협약의 적용을 받지 않는다는 이유로 기간제근로자들에게 명절상여금, 직무수당, 정근수당, 복지포인트를 지급.. 핫 관리자 560 2023.08.07
306 [대법원]'정년에 도달한 근로자가 기간제 근로자로 재고용되지 못한 것’과 ‘정년 도달 후 기간제 근로계약을 체결한 근.. 파일 관리자 339 2023.07.31
305 [중노위]헤어디자이너들은 근로기준법상 근로자가 아닐 뿐 아니라 사업장이 근로기준법 적용 대상(상시근로자수 5명 이상).. 핫 파일 관리자 579 2023.07.27
304 [중노위]기간제 계약을 하였으나 사실상 기간의 정함이 근로계약 체결에 해당..부당해고[2022.8.29.판정] 파일 관리자 480 2023.03.30
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
비밀번호
확인
취소
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
비밀번호
확인
취소
게시판을 선택하세요.
게시판선택
확인
취소
신고사유를 선택하세요.
확인
취소
T o 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