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원 판례 및 노동위 판정

로케이션
» Home > 노동상담 > 법원 판례 및 노동위 판정

노동법 판례 상세보기

노동법 판례 상세보기
산재 이주노동자 월급서 병원비 공제, 항의하니 “나가라”
작성자 관리자 조회수 400
등록일 2021.10.20 추천수

0




입사 20일 만에 기계에 손가락 끼여 … 법원 “노동자 의사 반해 해고 무효”




이주노동자가 일하다 다쳐 치료받은 병원비를 월급에서 공제한 것을 항의하자 사업주가 구두로 해고한 것은 무효라고 법원이 판결했다.


서울고법 민사1부(재판장 전지원 부장판사)는 나이지리아인 노동자 A씨가 회사를 상대로 낸 해고무효확인 소송에서 A씨와 회사의 항소를 모두 기각하고 원고 일부 승소로 판결했다고 19일 밝혔다.


이주노동자 A씨는 2018년 7월 B사에 입사해 종이를 기계에서 빼고 넣는 작업을 했다. 그러던 중 입사 20여일 만에 기계의 이물질을 제거하다가 손가락이 끼여 골절상을 입었다. A씨는 22일간 입원했고, 700만원의 병원비가 나왔다.


그런데 회사는 “병원비 중 300만원은 A씨가 부담해야 한다”며 6개월간 매달 50만원을 뺀 나머지 월급을 주겠다고 A씨에게 통보했고, 첫 달 월급에서 50만원을 공제했다.


이에 A씨는 같은해 9월12일 대표이사인 C씨를 찾아가 불만을 토로했지만 “나가라”는 답변이 돌아왔고, 그날로 해고됐다. 해고 당일 A씨가 산재 비용 처리를 문의하기 위해 방문한 센터의 상담지에도 이러한 내용이 기재돼 있었다. 숙소 동료도 같은 내용을 진술했다.


1심은 “회사가 A씨 의사에 반해 근로계약관계를 종료하고자 하는 의사를 표시해 해고했다”며 부당해고라고 판결했다. 재판부는 “A씨는 사고로 인한 피해가 완전히 회복되지 않았는데도 쉬지 않고 일을 계속해야 할 신분상·경제상 유인이 있었다”며 “자진해 퇴사할 만한 특별한 사정이 있었던 것으로 보이지도 않는다”고 판시했다.


그러면서 “B사의 해고는 근로기준법상 해고 제한 기간에 서면에 의하지 않고 이뤄진 것으로서 효력이 없다”고 못 박았다. A씨가 퇴원한 뒤 30일이 지나기 전에 구두로 해고를 통보했다는 것이다.


재판부는 해고되기 전 받은 월급 180만원에 해당하는 돈을 복직일까지 지급하라고 회사에 명령했다. 다만 B사가 안전배려의무를 지키지 않았음을 알 수 있는 증거는 없다고 판단했다. 항소심도 1심 판단이 옳다고 봤다.



출처 : 매일노동뉴스(http://www.labortoday.co.kr)


  • 페이스북으로 글 보내기
  • 트위터로 글 보내기

노동법 판례 코멘트 쓰기

코멘트 쓰기
답글달기 상태입니다. 답글달기를 취소하고자 할 경우 위의 취소버튼을 눌러주세요.
  • 글쓰기
  • 목록
  • 인쇄
  • 수정
  • 삭제

노동법 판례 목록

노동법 판례 목록
번호 제목 작성자 조회 등록일
230 파견법상 직접고용의무를 부담하는 사용사업주가 파견근로자를 직접고용하는 경우, 그 근로계약에서 기간을 정하였더라도 특별.. 관리자 229 2022.02.23
229 직장 내 괴롭힘 사건을 벌금에서 징역형의 집행유예로 형량을 높인 사례[2020고단245 판결] 관리자 261 2022.02.21
228 연차사용권ㆍ수당청구권 발생시점과 1년 계약직의 연차수당[대법원2021다227100] 파일 관리자 210 2022.02.16
227 생리휴가에서의 증명 책임[대법원2021도1500 ] 파일 관리자 219 2022.02.10
226 임금인상 소급분도 고정성을 갖춘 통상임금에 해당한다.[대법원 2017다56226] 관리자 201 2022.02.09
225 성희롱·성추행 행위 및 피해자에 대한 2차 가해 행위의 징계사유가 인정되고 징계절차에 하자가 없어 정당하다고 판정[.. 관리자 206 2022.02.08
224 근로자가 2차례 심문회의에 출석하지 아니하여 구제신청의 의사를 포기한 것으로 보아 각하 판정[2021부해148] 관리자 225 2022.02.07
223 방송연기자의 노조법상 근로자성을 인정한 사례[중앙2018재단위1] 파일 관리자 267 2022.01.28
222 단체교섭 과정에서 의견수렴을 하지 않은 것과 근로시간면제 시간을 배분하지 않은 것은 공정대표의무 위반[중앙2018공정.. 파일 관리자 230 2022.01.27
221 [통상해고]도급제로 근무하는 자들을 포함할 경우 5명 이상 사업장에 해당,계속 근로의사 표시를 거부하여 해고가 존재하.. 파일 관리자 248 2022.01.24
220 [징계해고]징계사유(성희롱)가 인정되고, 그 비위의 정도가 중대하며, 징계처분의 효력을 부인할 만한 절차상 하자가 존.. 파일 관리자 221 2022.01.21
219 [징계해고]업무상 필요성이 인정되지 않아 부당한 전보라고 판정한 사례[중앙2018부해998] 파일 관리자 241 2022.01.20
218 1년 계약직 연차 26일→11일로…다음날도 일해야 15일 휴가 부여 관리자 301 2022.01.18
217 자동차 판매원의 노조법상 근로자성을 인정한 사례 관리자 280 2022.01.17
216 합리적인 이유 없이 노동조합 간 배차시간 및 근로시간을 다르게 하는 것은 부당노동행위에 해당 관리자 232 2022.01.14
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
비밀번호
확인
취소
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
비밀번호
확인
취소
게시판을 선택하세요.
게시판선택
확인
취소
신고사유를 선택하세요.
확인
취소
T o 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