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원 판례 및 노동위 판정

로케이션
» Home > 노동상담 > 법원 판례 및 노동위 판정

노동법 판례 상세보기

노동법 판례 상세보기
노사당사자는 휴가청구권이 소멸되는 미사용 휴가에 대하여 금전보상 대신 이월하여 사용하도록 합의하는 것도 가능하다.(2015.07.13. 근로기준정책과-3079)
작성자 관리자 조회수 2,634
등록일 2017.01.03 추천수

0

⟨ 질의

◊ 질의 내용
- 전년도 출근율에 의하여 발생된 연차유급휴가에 대하여 당해년도 전체를 육아휴직하여  연차휴가를 사용할 수 없을 경우, 연차휴가청구권의 소멸 시효가 중단된 것으로 보아 복직한 후 연차휴가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미사용 연차휴가에 대하여는 휴가청구권이 소멸된 직후에 연차휴기미사용수당으로 지급할 경우 ⌈근로기준법⌋ 제60조를 위반하는것인지.

예) 2014년도 출근율에 의하여 발생한 연차유급휴가에 대하여 근로자가 2015.1.1.~2015.12.31.까지 육아휴직으로  연차유급휴가를 사용하지 못할 경우 2016년도에 2014년도에 발생한 연차유급휴가를 사용하도록하고 미사용된 연차유급휴가에 대한 미사용수당은 2017년 1월 임금지급일에 지급.

◊사실관계
- 근로자가 전년도 출근율에 의하여 발생된 연차유급휴가를 다음년도에 사용하여야 하나, 근로자가 다음연도에 육아휴직등으로  실근로일이 하루도 없게 되어 사용하지 못한 경우 연차유급휴가미사용수당으로 지급하고 있으나

- 육아휴직 당해년도에는 년의 전체가 소정근로일에서 제외되어 연차유급휴가가 발생하지 않아 다음년도 복직 후 사용할 수 있는 휴가일수가 없어 근로자의 정신적.육체적 휴양 기회 제공이 없음.
예) 2013.1.1. 입→ 2014.1.1. 15일의 연차유급휴가일수 부여
     2014.1.1.~2014.12.31. 육아휴직2015.1.1.~ 2015.12.31. 연차사용가능일수 없음.

⟨ 회시 ⟩ 
 

◊⌈근로기준법⌋ 제60조에 따라 사용자는 1년간 80% 이상 출근한 근로자에게 15일의 유급휴가를 부여하고, 계속근로한 기간이 1년 미만인 근로자 또는 1년간 80% 미만 출근한 근로자에게는 1개월 개근시 1일의 유급휴가를 주어야 함.

- 또한, 연차휴가는 휴가 발생이후 1년간 행사하지 아니하면 휴가청구권이 소멸되고 미사용한 휴가일수에 대하여는 수당청구권이 발생함.

◊ 귀 질의는 전년도 출근율에 의하여 발생된 연차유급휴가를 사용할 당해년도 전체를 육아휴직한 근로자의 직무 복귀 시 연차휴가 사용에 관한 것으로 보여지며,

- 노사당사자는 휴가청구권이 소멸되는 미사용 휴가에 대하여 금전보상 대신 이월하여 사용하도록 합의하는 것은 가능할 것이나, 근로자의 의사에 반해 사용자가 이를 강제할 수는 없을 것으로 사료됨( 근로조건지도과- 1046,2009.02.20. 참조 )

- 한편, 미사용한 휴가일수에 대한 수당청구권은 휴가사용이 이월된 연차휴가의 휴가청구권이 소멸된 직후의 임금지급일에 발생한다고 할 것임(근기 68207-687,1999.11.22. 참조)

  • 페이스북으로 글 보내기
  • 트위터로 글 보내기

노동법 판례 코멘트 쓰기

코멘트 쓰기
답글달기 상태입니다. 답글달기를 취소하고자 할 경우 위의 취소버튼을 눌러주세요.
  • 글쓰기
  • 목록
  • 인쇄
  • 수정
  • 삭제

노동법 판례 목록

노동법 판례 목록
번호 제목 작성자 조회 등록일
196 [지방ㆍ행정법원] 대기발령 후 당연 면직, 규정있어도 '해고'... 핫 관리자 1,408 2021.02.15
195 교섭대표노조의 대표권 남용...공정대표의무위반 핫 관리자 1,224 2021.01.22
194 대법원"노조파괴한 창조컨설팅과 발레오전장, 금속노조에 손해배상" 해야 핫 관리자 912 2021.01.08
193 [지방ㆍ행정법원] 대기발령 후 당연 면직, 규정있어도 '해고'...법원 "서면통지 해야" 핫 관리자 1,172 2020.12.28
192 [지방ㆍ행정법원] “사용자 개별교섭 동의, 노조 골라서 할 수 없어”···최초 법원 판결 핫 관리자 1,196 2020.12.02
191 대법원 "주간업무 유사 야간당직근무, 통상근무 연장으로 봐야"(삼성노블카운티 도급 시설관리직 임금소송에서 1.2심 뒤.. 핫 관리자 1,394 2019.12.02
190 대법원 "임금피크제 도입해도 개별근로자 동의 없다면 적용 안돼"(2019년 12월) 핫 관리자 1,238 2019.11.29
189 정규직.계약직 임금인상 적용방식 차이의 차별적 처우 해당 여부? 핫 관리자 1,298 2019.11.15
188 최저임금법 위반을 피하기 위해 소정근로시간을 단축한 임금협정은 무효.(2019.07-24, 대법원선고 2016다20.. 핫 관리자 1,236 2019.11.08
187 대법 "고정성 없는 명절휴가비, 통상임금 아냐" 핫 관리자 1,551 2019.11.04
186 산재신청서 작성 쉬워진다 - 신청서 기재항목 절반으로 대폭 축소- 핫 관리자 1,027 2019.10.10
185 버스기사가 교통사고를 내면 매달 지급하는 무사고 승무수당을 공제한다는 내용의 근로계약은 무효(2019-6-13 대법원.. 핫 관리자 1,112 2019.09.23
184 선택적 복지제도에 기초한 복지포인트의 근로기준법상 임금성 및 통상임금성이 문제된 사건(2019-8-22 대법원 전원합.. 핫 관리자 1,266 2019.09.16
183 고용보험법. 남녀고용평등법. 일학습병행법. 제.개정 법률안 국회 본회의 통과. 배우자 출산휴가 현행5일에서 유급10일.. 핫 관리자 1,233 2019.09.02
182 단체협약과 같은 처분문서를 해석할 때 명문의 규정을 근로자에게 불리하게 변형 해석할 수 없다.(2018-11-29 대.. 핫 관리자 1,510 2019.08.28
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
비밀번호
확인
취소
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
비밀번호
확인
취소
게시판을 선택하세요.
게시판선택
확인
취소
신고사유를 선택하세요.
확인
취소
T o p